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 후안무치 유래와 활용 방법 소개

by 김전사 2025. 3. 23.

안녕하세요, 삶에 필요한 교훈을 전하는 「용어 해설소」입니다. 오늘은 뻔뻔하고 염치없는 행동을 비판할 때 쓰는 "후안무치(厚顔無恥)"라는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후안무치란?

    "후안무치(厚顔無恥)"는 낯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으로, 뻔뻔하고 염치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한자성어입니다.

    1, 한자 구성

    ① 두터울 후(厚)

    한자 풀이
    두텁다, 두껍다는 뜻입니다.
    두터울 후

    ② 얼굴 안(顔)

    한자 풀이
    얼굴을 의미합니다.
    얼굴 안

    ③ 없을 무(無)

    한자 풀이
    없다, 부정의 의미입니다.
    없을 무

    ④ 부끄러울 치(恥)

    한자 풀이
    부끄러움을 의미합니다.
    부끄러울 치

    이 네 글자를 합치면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이 되며, 부끄러운 짓을 해놓고도 전혀 미안해하지 않는 뻔뻔한 사람을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2. 유래

    '후안무치'는 중국 고전 《시경(詩經)》의 〈소아(小雅)〉에 나오는 다음의 구절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

    "평온하고 느린 훌륭한 말은 입에서 나오거니와, 생황(笙簧) 같은 공교로운 말은 얼굴이 두껍기 때문이니라."
    (原文: "蛇蛇碩言, 出自口矣, 巧言如簧, 顔之厚矣.")

    여기서 '얼굴이 두껍다'는 표현이 후안(厚顔)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이후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의 '무치(無恥)'가 더해져 '후안무치'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또한, 중국 하(夏)나라의 임금 태강(太康)이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 나라를 잃고 쫓겨난 일화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태강의 다섯 형제 중 막내가 형을 원망하며 부른 노래에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누나"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여기서 '후안'의 의미가 강조되었습니다.

    3. 실제 문장 속 쓰임

    •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큰소리치는 그 정치인의 후안무치한 태도에 모두가 분노했다.
    • 국민의 세금을 개인 용도로 쓴 공무원이 재출마를 선언한 것은 후안무치의 극치였다.
    • 그는 후안무치하게도 동료의 아이디어를 훔쳐 자신의 것인 양 발표했다.
    • 그녀는 후안무치한 태도로 거짓말을 일삼다가 결국 신뢰를 잃고 말았다.
    •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피해자인 척하는 그의 후안무치함에 모두가 놀랐다.

    후안무치의 유래를 통해 우리 모두가 부끄러움을 아는 겸손한 사람이 되어야 함을 다시금 느끼게 됩니다. 오늘의 내용이 작은 성찰의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