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삶의 지혜와 교훈을 전하는 「용어 해설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냉정한 현실을 담은 한자성어 "토사구팽(兎死狗烹)"의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토사구팽이란?
토사구팽(兎死狗烹)은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가차 없이 버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한자성어입니다.
1. 한자 구성
① 토끼 토(兎)
한자 | 풀이 |
兎 | 토끼. |
토끼 토 |
② 죽을 사(死)
한자 | 풀이 |
死 | 죽다. |
죽을 사 |
③ 개 구(狗)
한자 | 풀이 |
狗 | 개. |
개 구 |
④ 삶을 팽(烹)
한자 | 풀이 |
烹 | 삶다. |
삶을 팽 |
즉,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도 필요 없어져 삶아 먹는다"는 말로, 한때 공을 세웠더라도 필요가 없어지면 무정하게 버려지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2. 유래
이 말은 원래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의 신하 범려의 말에서 유래합니다. 범려는 월왕 구천을 도와 오나라를 무너뜨리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범려는 구천이 고난은 함께할 수 있지만, 영광은 함께 나눌 수 없는 인물임을 간파하고, 월나라를 떠나 제나라로 은퇴합니다. 그는 남은 동료 문종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전했습니다.
"교활한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狡兔死走狗烹)"
— 《사기(史記)》 〈월왕구천세가〉 인용
하지만 문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결국 구천에게 반역 혐의를 받아 자결하게 됩니다
이후 한나라를 세운 유방과 공신 한신의 이야기로도 이 표현이 유명해졌습니다. 유방은 천하를 평정한 뒤, 큰 공을 세운 한신을 초왕에서 회음후로 강등하고 끝내 부인 여후에 의해 처형하게 합니다. 이때 한신은 다음과 같이 한탄했습니다.
"과연 사람들의 말과 같도다. 교활한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고,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도 감추어지며, 적국이 무너지면 책사도 버려진다. 천하가 평정되었으니 나도 마땅히 삶아질 차례구나."
— 《사기(史記)》 〈회음후열전〉 인용
이 일화는 일이 끝나면 공신이나 충성스러운 사람도 버림받는 비정한 세상을 풍자하는 대표적인 고사로 남았습니다.
3. 실제 문장 속 쓰임
- 정치권에서 자주 보는 현상 중 하나가 충성스럽던 참모들을 쉽게 버리는 토사구팽의 현실이다.
- 성과를 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목표가 달성된 후 토사구팽 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 임원으로서 회사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했지만, 안정된 후 토사구팽의 대상이 되어 씁쓸했다.
- 회사가 위기일 때 최선을 다해 일했던 직원들이 성공 이후 해고된 것은 전형적인 토사구팽이었다.
- 그 감독은 성적이 좋지 않자 이전의 공로자들을 내쫓는 토사구팽식 대응으로 비난받았다.
토사구팽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인간관계와 신의를 돌아보게 합니다. 서로를 소중히 여기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 혈혈단신의 뜻과 활용 예문 소개 (0) | 2025.03.28 |
---|---|
한자어 반신반의 정확한 뜻과 사용 방법 (0) | 2025.03.27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네, 진퇴양난의 유래와 문장 속 활용 (0) | 2025.03.26 |
사자성어 우문현답의 정확한 뜻과 한자별 풀이, 동문서답과의 차이는? (0) | 2025.03.25 |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다 정확한 뜻과 사용 방법 해설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