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용어의 뜻을 함께 알아보는 「용어 해설소」입니다. 오늘 소개할 표현은 바로 한자성어 "와신상담(臥薪嘗膽)"입니다.
목차
와신상담 뜻
"와신상담(臥薪嘗膽)"은 "장작 위에 누워 쓰디쓴 쓸개를 맛본다"는 의미의 한자성어입니다. 복수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려운 고난을 참고 견디는 강한 의지를 의미합니다.
중국 춘추시대의 역사에서 비롯된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1. 한자 구성
① 누울 와(臥)
한자 | 풀이 |
臥 | 누워 있는 모습을 뜻합니다. |
누울 와 |
② 섶나무 신(薪)
한자 | 풀이 |
薪 | 섶나무를 의미하는데, 섶나무는 가시가 많고 딱딱해 누우면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
섶나무 신 |
③ 맛볼 상(嘗)
한자 | 풀이 |
嘗 | 맛을 본다는 뜻으로, 무언가를 직접 경험하거나 체험한다는 의미입니다. |
맛볼 상 |
④ 쓸개 담(膽)
한자 | 풀이 |
膽 | 동물의 쓸개를 뜻하며, 매우 쓰디쓴 맛을 상징합니다. |
쓸개 담 |
즉, 가시가 돋친 장작 위에 누워 고통을 견디며, 쓰디쓴 쓸개를 핥으며 복수를 다짐하는 모습을 뜻합니다. 단순한 인내를 넘어서 스스로를 고통 속에 던지며 목표를 이루기 위한 강한 의지를 표현한 말입니다.
2. 유래
와신상담은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와 월나라의 역사에서 유래한 말인데요.
오나라 왕 합려는 월나라와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죽으면서 아들 부차에게 복수를 당부했습니다. 부차는 아버지의 원수를 잊지 않기 위해 매일 가시가 많은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신하들에게 "부차야, 너는 월나라가 네 아버지를 죽였다는 걸 잊지 말라"라고 외치게 했습니다.
그렇게 몇 년 동안 힘을 기른 부차는 결국 월나라를 공격해 승리를 거두고 월왕 구천을 사로잡아 굴욕을 안겼습니다. 하지만 구천은 치욕을 잊지 않기 위해 방에 쓸개를 매달아 두고, 그것을 핥으며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구천은 오랜 시간 오나라의 환심을 사며 기회를 엿보다가 결국 오나라를 기습해 부차를 무너뜨리고 오나라를 멸망시켰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로부터 '와신상담'이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고, 고난을 참으며 복수를 준비하거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끈질긴 노력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3. 실제 문장 속 쓰임
- 지난번 시험에서 떨어진 후 와신상담하며 1년간 준비했더니 결국 합격했다.
- 우리 팀이 이번 시즌 우승을 놓쳤지만, 선수들 모두 와신상담하는 자세로 다음 시즌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그는 사업이 한 번 실패한 이후에도 와신상담하여 결국 재기에 성공했다.
- 그녀는 비록 지금은 낮은 직책에 있지만, 와신상담의 마음가짐으로 역량을 키우고 있다.
- 이번 선거에서 패배한 정치인은 와신상담하며 다음 선거를 위해 민심을 얻기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힘들 때마다 마음에 새길 수 있는 말, 와신상담의 의미가 여러분께 작은 용기와 위로가 되었으면 합니다. 다음에도 재미있고 유익한 이야기로 찾아올게요. 늘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 난신적자의 한자별 풀이와 유래는? (0) | 2025.03.22 |
---|---|
고사성어 청출어람의 한자 풀이 및 유래 소개 (0) | 2025.03.21 |
대기만성형 인간이란? 정확한 뜻과 유래를 알아봅시다 (0) | 2025.03.21 |
고사성어 용두사미의 한자별 풀이와 유래 소개 (0) | 2025.03.21 |
고사성어 동병상련(同病相憐) 뜻과 사용 방법 (0) | 2025.03.20 |